
▲ 스포츠인 권익센터에 접수된 신고·상담 현황. (자료 제공=신의진 의원실)
폭력과 성폭행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스포츠선수들에 대한 인권 보호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14일 대한체육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스포츠인 권익센터 성폭력 신고현황'에 따르면 성폭력 신고 34건 중 67.6%인 23건이 지도자로부터 피해를 입은 사건이었다.
또 대한체육회가 2012년에 실시한 선수 성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운동선수의 36%가 '최근 1년 전까지 구타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구타 후 대처 방법에 대해서 '참거나 모르는 척 했다'(51.9%), '당황해서 아무런 행동을 하지 못했다'(19.4%) 등으로 대답해 선수 대부분 구타를 당하고도 별다른 대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대한체육회 소속 선수 13만 명의 인권 보호를 담당하는 상담사가 고작 3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대한체육회 인권센터 상담사들의 경우 상담 업무뿐만 아니라 인권교육 업무, 경기단체와 시도 체육회에 대한 상담지원 업무까지 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간 권익센터에 접수된 신고·상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신고·상담 건수는 2010년 496건에 비해 24% 증가한 617건이었다.
이런 가운데 권역별 인권센터 건립계획도 3년째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위원회 규정'에 따라 대한체육회는 권역별로 권익센터 6곳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요구하고 있으나 반영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성폭력 등의 인권침해사안에 대해 1차로 조사해야 할 시도 체육회와 가맹단체들이 열악한 사정 때문에 선수위원회 구성조차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신의진 의원은 "폭행이나 성추행 등 선수들이 받는 인권침해 문제가 심각하지만 정작 선수들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앞장서야 할 대한체육회의 인권보호대책은 미흡하다"며 "상담인력 확충과 시도 체육회, 가맹단체에 선수위원회 구성을 조속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윤진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