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초부터 환경부를 대상으로 이들 3개 저수지에 대한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을 수 차례 건의한 결과 지난 6일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중점관리 저수지 지정은 지난 2012년 마련된‘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으로 총 저수량 1000만톤 이상, 농업용수급인 4등급을 초과한 저수지가 대상이다. 중점관리저수지에 지정되면 수질개선과 다양한 수생태계 복원 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국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 받은 3개 저수지의 수질 등급은 모두 5등급이며, 기흥저수지는 조류발생과 악취, 왕송저수지는 수질악화, 물왕저수지는 수질개선과 호수공원 추진을 이유로 지정 신청을 했다.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은 법 개정 후 이들 3개 저수지가 전국 최초라고 도는 설명했다.
이번 지정으로 기흥저수지는 약 200억원의 예산을 지원 받아 용인시, 한국농어촌공사와 함께 조류제거사업 등 다양한 수질개선사업을 실시, 수질등급을 4등급(약간 나쁨)에서 3등급(보통)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도는 기흥저수지의 수질개선과 함께 저수지 수변 공간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1964년 준공된 기흥저수지는 총저수량 1165만 9천 톤, 만수면적 2.31㎢ 규모로 용인시 기흥구 하갈·고매·공세동 등 3개 동에 걸쳐 있다.
왕송저수지에는 약 40억원의 예산이 투입돼‘왕송호’주변 경작지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줄일 수 있는 연꽃단지와 친환경농법, 자연생태 체험 학습장 등이 조성된다. 지난 1948년 완성된 왕송저수지는 총저수량 208만톤, 만수면적 0.84ha, 규모로 의왕시 이동·삼동 등 4개동과 군포, 수원 각 1개 동에 걸쳐 있다.
물왕저수지에는 약 50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저수지 주변에 수질정화습지 2개소를 조성하고 저수지 내에는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침강지와 인공식물섬 조성, 퇴적물 제거를 위한 준설사업 등이 추진된다. 지난 1946년 조성된 물왕저수지는 총저수량 187만 톤, 만수면적 0.51ha, 규모로 시흥시 물왕·산현동 등 2개 동에 걸쳐 있다.
김장립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장립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