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외 10개 단체 회원들이 '일본산 수산물과 폐기물 수입 금지 촉구' 기자회견을 했다.
지난달 15일 일본 후쿠시마 주변 8개 현의 수산물에 대한 수입제한 조치 재검토를 밝힌 식약처가 일본정부의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식약처는 '소비자단체 전문가가 포함된 민간중심의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해 일본이 제공한 자료를 비롯해 한ㆍ일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일본산 수산물의 안전성을 검토해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남윤인순 의원은 "그간 후쿠시마 원전 관련 방사능 통계와 정보를 통제하고 은폐해 온 일본정부가 제공한 답변 자료를 토대로 임시특별조치를 검토하겠다는 건 현지정부의 눈치 보기에 급급한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또한 일본산 수산물을 원료로 한 수산물가공품과 양념 젓갈, 조미건어포를 수입하는 것을 '이중적 잣대'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남윤인순 의원은 "수산물뿐 아니라 모든 품목의 식품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최소한 수산물가공품에 대한 수입은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후쿠시마 근해에서 조업 중인 러시아 수산물도 검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는 '일ㆍ러 지선근해어업협정'에 의해 후쿠시마 근해를 포함해 일본 200해리수역(EEZ)에서 조업을 하고 있다.
이에 일본 수역에서 러시아의 어획할당량은 2013년 6만2096톤에서 2014년 7만1303톤으로 늘었으며 어종은 꽁치, 정어리, 명태와 육질이 비슷한 것으로 알려진 이토히키다라 등이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가 지난 2013년 6월부터 올 3월까지 총 545개 시료를 대상으로 진행한 방사능 검사 결과, 일본보다 러시아 수산물에서 더 많은 세슘이 검출됐다.
안철수 의원은 "러시아 수산물에서 세슘이 많이 검출된 이유는 후쿠시마 근해를 포함한 일본 해역에서 조업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한편 식약처는 과학적 안전성과 국민의 안심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며 마련한 '민간중심의 자문위원회'가 편파적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자문위원 16명 중 6명은 공무원이고, 나머지 민간위원 10명 중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한 7명은 원자력발전을 찬성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안철수 의원은 "일본산 수산물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재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소라 기자
imsorapark@newsishealth.com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