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균관대 연구팀이 흰개미에서 '항진균' 천연물질을 발견했다. (사진=성균관약대홈페이지 캡처)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흰개미에서 '항진균'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이 발견됐다.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김기현 교수팀은 흰개미에서 분리해낸 공생 미생물에서 항진균 효과를 낼 수 있는 특이 천연물질을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공생 미생물은 다른 생물의 몸속에 살면서 서로 필요한 생존 조건을 교환하는 박테리아를 뜻한다.
김 교수팀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흰개미 '마크로테르메스 나타렌시스(Macrotermes natalensis)'에서 공생 미생물 '스트렙토미세스균(Streptomyces strain) M56'을 분리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에서 항진균 효능 가능성이 있는 특이 천연물질을 발견해 복잡한 3차원 구조를 밝혔다. 이번에 발견한 천연물질은 흰개미의 이름을 따 '나탈라마이신(natalamycin) A'라고 부른다.
곤충에서 추출한 공생 박테리아와 이들로부터 추출한 2차 대사 산물은 약학계에서 주목받는 대상이다. 이들은 약리학적으로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 발견한 물질을 분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고정밀도 양자 화학적 NMR 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자처럼 크고 복잡한 천연물질의 3차원 구조를 최초로 분석했다는 점에도 의의가 있다.
김 교수는 "신약 개발에 필요한 천연물의 원천을 얻는 영역을 곤충의 박테리아로까지 확대하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저널 케미컬 사이언스 11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조진성 기자
cjs@kntimes.co.kr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