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림성 연변주정부와 길림성장길도판공실(길림성두만강지역합작개발판공실), 중국국제무역학회 두만강분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두만강국제합작전략대화(2016)(图们江国际合作战略对话(2016)’회의가 7월 6일 연길시에서 소집되었다.
회의에서 중국, 한국, 러시아, 몽골 등 4개 나라에서 온 정계와 학계 대표들이 당면한 두만강지역합작과 관련된 열점문제들을 화제로 전략적높이의 대화와 교류를 진행했다.
‘개방, 합작, 공유’를 주제로 한 ‘두만강국제합작전략대화(2016)’회의는 두만강지역이 직면한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깊이 있게 연구, 분석하고 더욱 많은 공동한 인식을 모아 보다 넓은 범위에서 두만강지역의 합작을 추진하며 창지투(長吉圖)전략의 실시를 위해봉사하는데 취지를 두었다.
회의에서는 새로운 형세하에서 두만강지역국제합작이 직면한 기회와 도전을 추진하고 두만강국제합작의 사유와 대책을 중점으로 한 주제대화를 진행했으며 중한자유무역구건설과 러시아 울라지보스또크자유항만건설, 진일보로 두만강지역국제합작과두만강지역합작기제를 지역성국제경제합작조직기회로 전환하고 업그레이드시킬데 관한 등 내용을 전문대화주제로 삼았다.
두만강지역합작개발은 중국에서 참여하는 3대 국제차구역합작가운데의 하나이다. 1992년 유엔개발계획서에서 두만강지역합작개발대상을 적극 창도한 이래 중국에서는 줄곧 이에 높은 중시를 돌려왔다.
20여년간 길림성에서는 창지투전략을 길림성 개방발전의 기치로 삼고 적극적으로 실시해 현저한 효과를 거두었다. 창지투전략의 고층차설계는 이미 기본적으로 완수되었으며 주변국가들과 서로 연결되는 통로건설이 부단히 완벽화되고 각급 각 유형의 개방합작플래트홈이 연이어 설립되고있다. 기초시설건설감당능력이 부단히 증가되고있고 산업구조도 부단히 업그레이드 되고있으며 동북아 각 나라들간의 경제무역거래와 문화관광 등 영역의 다층차 교류와 합작도 날로 빈번해지고있다. ‘일대일로’ 변경개발개방과 새로운 동북노공업기지진흥 등 국가전략실시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놀고있다.
길림성장길도개발개방선도구전략실시지도소조 판공실 주임인 왕경우의 사회로 열린이번 회의에서 제10기 전국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이며 중국두만강지역합작개발전문가소조 조장인 장정화가 중요한 연설을 발표했다.
장정화는 두만강지역국제합작을 진일보로 추진하는 것은 미래 두만강지역발전의 중요한 방향이라면서 이번 전략대화회의는 적시적으로 소집되었고 대화의 중심의제가당면한 세계발전의 새로운 형세와 긴밀히 결부되었으며 당면 두만강지역합작의 새로운 기회에 초점을 맞추고있어 매우 중요한 현실적의의를 가진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장정화는 두만강합작기제의 정부간 경제합작의 플래폼 역할을 잘 발휘할것과 두만강지역국제대통로건설을 진일보 완벽화할 문제, 계속해서 두만강지역합작영역을 확대하고 길림성의 우세를 발휘하여 창지투전략을 착실히 실시할 문제, 대두만강창의조직을 독립적이고 법인자격이 있는 국제경제합작조직으로 승격시킬데 대한 등 5가지 건의를 제기했다.
새로운 형세하에서 두만강지역국제합작이 직면한 기회와 도전을 추진하고 두만강국제합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