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9년 영국 런던에서 시작돼 현재 전 세계 13개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글로벌 아트페어 ‘어포더블 아트페어’가 성황리에 성료되었다.
13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행사장은 3일간 일정의 마지막 날이라 그런지 개막시간인 오전 11시부터 관람객이 줄을 이었다. 첫해 치고는 적지 않은 80여 갤러리가 참여했다. 그것도 절반이 외국 화랑이다. 한국보다 먼저 선을 보인 싱가포르(2010년·50곳), 홍콩(2013년·87곳)의 첫해 참가 수치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국적 면에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아트페어임이 증명됐다.
갤러리 룩스 심혜인 관장은 “외국 화랑들이 많이 참가해 해외 작가들의 작품 경향을 파악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캐나다 아테리아 화랑의 운영디렉터 조나단 오클레어는 “한국 작가들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내년에도 참가할 예정”이라고 만족해했다.
주최 측은 홍보와 운영 등 디테일에서도 좋은 평판을 얻었다. 젊은 직장인을 겨냥해 전시시간을 마지막 날을 제외하곤 오후 10시, 오후 8시까지로 늘려 잡았다. 첫날 저녁시간에는 판매행사와 파티를 겸해 젊은층을 유인했다. 행사장에 깔리는 배경음악도 경쾌해 가벼운 쇼핑을 온 듯한 분위기를 살렸다.
어포더블 아트페어가 대중적인 미술시장을 겨냥하기는 했지만 한국 컬렉터들의 성향이 지나치게 안정적인 작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일본 도쿄에서 온 토만컬렉션 대표 노먼 토만(80)은 시노나 도코라는 103세 여류 화가의 표현주의적 작품을 들고 나왔다. 그는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검증받은 작가이지만 한국에서는 알려지지 않아 그런지 한 점도 팔지 못했다”면서 “한국의 컬렉터들이 새로운 것에 대해 관심이 적은 것 같다”고 실망감을 표시했다.
한국 신진 작가로 활발하게 활동중인 유화작가 태허 손외경의 작품도 아트페어에 소개되었다. 원을 소재로한 작품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는 손외경작가는 무엇보다 자유로움과 생명체를 작품에 표현하는 기법을 통해 팬층을 확보해가고있다. 이미 해외에서도 전시를 통해 해외팬층까지 확보하고 있는 손외경작가는 " 점으로부터의 출발은 생명하나하나에 자유함과 삶의 기본원칙들을 느끼고 자유함이 어디로부터 오는가?를 함께 공유했으면 한다 "며 아트페어 참가 소감을 밝혔다.

데일리연합 &무단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