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쉐보레, 중고차 잔존가치도 새 출발 할까

  • 등록 2011.03.03 09:21:32
크게보기



한국GM (구 GM대우)이 새 브랜드 ‘쉐보레’ 알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올란도’와 ‘아베오’ 등 신형모델로 무장한 가운데, 과거GM대우 차량의 잔존가치는 여전히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어 더욱 분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GM의 가치는?

중고차 경매가 이루어지는 글로비스의 2008년식 중고차 가치를 비교한 결과, GM대우의 엠블럼을 달고 있는 ‘라세티’, ‘토스카’, ‘윈스톰’이 동일 세그먼트 내에서 꼴지를 면치 못하고 있었다. 최고 잔존가치를 기록한 차량과 적게는 8%, 많게는 25%까지 벌어졌다.

GM대우 중형차 ‘토스카’의 평균 낙찰가격은 신차가격의 55%수준, 동급인 르노삼성 ‘SM5’가 64%인데 반해 몸값이 빠르게 떨어진 모습이다. 준중형 ‘라세티’는 라세티 프리미어의 출시 이후 더욱 낮아진 약 41%, 현대 ‘아반떼’가 보유한 66% 최고 잔존가치와는 격차가 25%에 달했다.

중고차 시장에서도 마찬가지

한국GM의 굴욕은 경매시장뿐만 아니라 중고차 업계로도 이어졌다. 중고차사이트 카즈의 2008년식 중고차 잔존가치에 따르면 구형 ‘라세티’가 신차가격의 56%, ‘토스카’는 58%호 최하위를 기록했다. 22종으로 이루어진 대표 모델의 평균 잔존가치가 69%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가장 높은 ‘윈스톰’이 65%였지만 평균 이하이기는 마찬가지. 경매 대비 중고차 시세가 좀 나아졌다는 것 말고는 두 모델이 꼴등을 차지했다는 것은 변함없다.

브랜드가치 제고 절실…파격적 프로모션으로 위기 돌파

자동차의 잔존가치는 타던 차를 되팔 때, 얼만큼의 가치를 받을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로 자동차 선진국은 이미 잔존가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이 있을 정도다. 잔존가치가 높을수록 신차의 몸값도 높아지기 때문에, 신차 판매는 물론 브랜드 가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잔존가치에서 꼴등을 한 한국GM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돌파구가 절실한 시점이다.

현재, 한국지엠은 ‘쉐보레’를 새로운 브랜드로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자 ‘쉐비케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올해 말까지 쉐보레 신차를 구입하는 모든 고객에게 국내 최초로 전차종 5년/10만km까지 무상 보증시스템을 시작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무상보증 시스템을 통해 사후관리 및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인식을 소비자들에게 심어주어 판매량과 잔존가치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했다. 이러한 노력이 차량 성능뿐만 아니라 정비망, 브랜드 이미지, 소비자 인식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되는 잔존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을지 쉐보레의 새 출발을 지켜보는 이들이 많다.
ibn 기자 ibn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0505-831-7000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529, 5층 5346호 (역삼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김용두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