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안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미국이 금리를 조정하면 한국엔 9개월에서 7개월이 지난 뒤 반영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8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1999년 5월 이후 최근까지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변화 추이를 시기를 구분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주요 사례를 보면 미국은 2004년 7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했고, 한국은행은 그 후 15개월 만인 이듬해 10월 기준금리를 올렸다.
또 미국은 2007년 9월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충격으로 금리를 내리기 시작했는데, 한국은 13개월이 지난 2008년 10월 기준금리를 하향 조정하기 시작했다.
이런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국이 오는 9월께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더라도 한국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것은 이로부터 약 10∼15개월 뒤가 될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한 것.
하지만 미국과 다른 방향으로 조정한 경우도 7차례나 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은 2004년 7월 이후 25개월에 걸쳐 금리를 올렸지만, 한국은 같은 해 8월과 11월 등 2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내렸다.
또 미국은 2008년 12월부터 기준금리를 초저금리 수준인 0∼0.25%로 유지했지만 한국은 2010년 7월부터 2011년 6월까지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런 시차나 금리조정 방향의 차이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이 미국 금리 추세보다는 국내 경기상황을 우선해서 반영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현실화되더라도 한국은행이 즉각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전망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