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김준호기자]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그리스 우려에 대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 효과는 다소 제한적이겠지만 불확실성은 당분간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KDI는 6일 발표한 ‘7월 경제동향’에서 “그리스의 채무불이행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됐으나 현 상황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유로존의 완만한 경기회복세가 유지되는 이상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겠지만 그리스 사태가 단기간 해소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당분간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분석이다.
KDI는 이어 그리스의 실질적인 채무불이행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커졌지만 2012년 그리스 구제금융과 비교하면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리스 경제위기에 따른 한국의 손실위험이 크지 않고 글로벌 유동성이 충분한 상황인만큼 유로존 은행들이 국내 투자를 급격하게 회수할 가능성도 적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리스에 대한 한국의 수출 비중은 0.2% 내외 수준이다.
다만 KDI는 향후 그리스와 관계된 불확실성 확대가 주기적으로 반볼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